목록AWS (3)
saram
질문을 받았다. 퍼블릭 클라우드의 웹서버의 성능저하가 발생했다. 어떻게 해야할까? 먼저, 웹서버의 성능 저하의 가능성은 상당히 다양하기 때문에, 먼저 성능저하의 원인을 알아야한다. 웹 코딩의 문제인지, 네트워크 문제인지, 보안 상의 문제인지, 서버 성능의 문제인지 파악해야한다. 서버의 성능이 문제라면, 회사의 예산과 인력을 고려하여 해결방안을 생각해야 한다. 1. Scale up을 통해서 서버 자체의 성능을 높인다.(예산을 보고 효율성을 판단하면 좋다) 2. node들을 추가한다. ( 노드 관리 인력을 보고 판단해야 한다.) 이 여러가지의 원인과, 여러가지의 해결방안을 전부 고려하여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Route 53 마이그레이션 현재 DNS 구성이 간단한 경우 – Route 53에서 수동으로 레코드 생성. 현재 DNS 구성이 복잡하고 현재 구성을 재현하기만 하려는 경우 – 기존 DNS 서버로부터 zone 파일을 받아 마이그레이션(추천) 현재 DNS구성이 더 복잡하고 Route 53 라우팅 기능에 관심이 있는 경우 - dns 공급자 즉, 기존의 dns 서버에는 없는 route 53만의 기능을 생각하여 구성 라이브 마이그레이션 가설. 기존 dns서버에서 aws route 53으로 라이브 마이그레이션 1. route 53에서 해당 서버의 도메인을 가지고 [create hosted zone] 2. [import zone file]로 기존 서버의 zone파일 텍스트 붙여넣기. 3. record set이 잘 들..
1. aws 서비스인 에 들어갑니다. 2. 왼쪽 위의 hosted zones 클릭. 3. 을 눌러 hosted zone을 만든다. 윈도우나 리눅스 도메인 서버의 zone파일 역할을 하는것과 같다. 4. Domain Name에 자신이 가지고 있는 host의 이름을 넣는다. 5. route53에서 제공해주는 NS(네임서버)를 hosting.kr에 등록해야 한다. (네임서버는 기본적으로 4개 이고, 네임서버를 변경할 수도 있다.) 6. hosting.kr로들어가 해당 주소의 네임서버 주소 창에 들어가, route53에서 제공한 4개의 네임서버를 입력, ipcheck를 한 후 변경하기를 누르면 결과를 메일로 수신을 하게 되는데, 7. 실패되었다. 하여 고객센터에 전화를 해보니, aws네임서버는 따로 인증을 받아..